<p></p><br /><br />영변 핵시설은 북한 핵의 상징입니다. <br><br>원자로, 재처리 시설이 있고, 한때 냉각탑이 있었습니다. <br> <br>북한이 이곳 영변의 핵시설을 '폐기'하고 한발 더 나가 '검증'을 받겠다는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. <br> <br>그 대신 제재를 부분적이나마 풀어줄 것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취재팀이 정부 당국자에게 확인한 것입니다. <br> <br>우리 정부는 '결코 작지 않은 비핵화 주고받기' <br> <br>그러니까 '빅 딜'이 시작됐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> <br>손영일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마이크 폼페이오 / 미 국무장관 (어제)] <br>"2월말까지 북한과 함께 가는 길에 또 하나의 좋은 표시를 하게 될 것으로 믿습니다." <br> <br>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스웨덴에서 열린 북미 실무협상에서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> <br>청와대도 진전 내용을 확인해줬습니다. <br><br>이 관계자는 "'스몰딜'이 아닌 더 큰 차원에서 북미 협상이 이뤄지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북한 핵의 비핵화 조치는 놔둔채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을 폐기하고 일부 대북 제재를 완화해주는 식의 작은 협상, 즉 '스몰딜' 가능성을 일축한 겁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이른바 '빅딜'을 강조했습니다. <br><br>북한은 영변 핵시설 폐기를 넘어 검증까지 허용하고, 미국은 일부 제재 완화가 아닌 포괄적 완화를 상응조치로 내놓는다는 겁니다.<br> <br>이외에 미국은 검증을 맡을 연락사무소를 평양에 개설하고, 석유 수입 제한을 풀어주는 방안도 북미간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다만 북한 핵 리스트 제출이나 종전선언 체결 등은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논의되지 않을 전망입니다. <br> <br>[손영일 기자] <br>김정은 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'과감한 비핵화 조치'를 약속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빅딜 가능성은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손영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김준구 한효준 박찬기 <br>영상편집 박형기 <br>